안전관리사항 (응급환자 발생 대응 매뉴얼)
목적
기숙사 내에서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학생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후속 조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적용 대상
가. 기숙사에 거주 중인 학생
나. 기숙사 관리자(사감, RA 등)
다. 교직원
응급상황 정의
가. 의식 상실, 호흡 곤란, 경련, 심한 출혈 등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한 상황
나. 고열, 복통, 정신적 이상 증세 등 위급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난 경우
대응 절차
가. 1단계 : 응급상황 인지 및 초기 조치
- 환자 본인 또는 주변 학생이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
- 관리자 또는 인근 인원이 환자 상태 확인
-
기본 응급처치 실시 (의식 확인, CPR, 기도 확보 등)
☞ 의식 확인 -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반응 확인, 의식 없을 경우 큰소리로 도움 요청
☞ CPR - 가슴 중앙에 손을 겹쳐 30회 강하고 빠르게 압박하고, 인공호흡 2회 반복
☞ 기도 확보 -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리는 자세 유지 등) -
응급키트, AED 사용 (비치된 경우)
☞ 응급키트 세트(삼각붕대, 멸균거즈, 압박붕대, 소독약, 밴드, 가위, 핀셋, 장갑, 체온계 등)
☞ AED 사용 - 전원을 켠 후 음성 안내에 따라 패드를 가슴에 부착하고, '심장 리듬 분석 중' 및 '충격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지시에 따라 작동
나. 2단계 : 긴급 연락
- 위급 상황: 119 구급차 즉시 요청
- 보건 대응 가능 상황: 재난안전실 또는 지정 병원 연락
- 동시에 기숙사 관리자 및 관련 부서에 보고
다. 3단계 : 응급이송
- 구급차 도착 전까지 환자 상태 지속 확인
- 환자 정보 준비 (이름, 나이, 증상, 병력 등)
- 필요 시 보호자 및 재난안전실 담당자에게 연락
라. 4단계 : 사후 관리
- 병원 이송 후 보호자와 지속 연락 유지
- 응급상황 발생 보고서 작성 및 보관
- 관련 부서에 보고 및 기록 제출
마. 5단계 : 예방 및 교육
- 정기적인 응급대응 교육 및 모의훈련 실시
- 건강관리 및 이상 증세 시 조기 보고 독려
- AED, 응급키트 등 비치 및 점검 정기화
응급처치 구성 물품 목록
가. 삼각붕대, 멸균거즈, 압박붕대, 소독약(포비돈 등), 밴드 및 반창고, 가위 및 핀셋, 1회용 장갑, 체온계, 얼음팩, CPR용 마우스 실드, 손 소독제, 손전등
나. 응급 연락망 카드
다. 응급처치 매뉴얼 요약본
- 1단계 : 의식 확인 및 기도 확보 → CPR 및 응급처치 → AED 사용
- 2단계 : 119 또는 보건실 연락 → 관리자 및 보호자 보고
- 3단계 : 환자 정보 준비 → 병원 이송
- 4단계 : 보고서 작성 및 후속 연락
- 5단계 : 예방 교육 및 응급물품 점검
참고 연락처
가. 119 (응급의료)
나. 학교 상황실 및 재난안전실 : 042-629-6228 / 042-630-9696
다. 기숙사 관리실 : 042-629-6130(국제,청운2숙 / 629-6542(청운1숙) / 630-9969(솔지오)
라. 보호자 연락망 : 응급환자 보호자 연락
비고
가. 모든 대응은 학생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함
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되, 매뉴얼 절차 준수 권장